사자성어 고사성어 모음 1탄 (가 순)
가가대소(呵呵大笑)
: 소리를 크게 내어 웃음.
가가호호(家家戶戶)
: 각 집과 각 호(戶). 곧, 집집마다
가담항설(街談巷說)
: 길거리에 떠도는 소문. 세상의 풍문(風聞). 가담항어(街談巷語)
가렴주구(苛斂誅求)
: 세금 같은 것을 가혹하게 거두어들이고 물건을 강제로 청구하여 국민을 못살게 구는 일
가인박명(佳人薄命)
: 아름다운 여자는 기박(奇薄)한 운명(運命)을 타고남.
각고면려(刻苦勉勵)
: 몹시 애쓰고 힘씀.
각골난망(刻骨難忘)
: 뼈 속에 새겨 두고 잊지 않는다는 데서, 남에게 입은 은혜가 마음 속 깊이 새겨져 잊혀 지지 아니함을 말함.
각골명심(刻骨銘心)
: 뼈 속에 새기고 마음속에 새긴다는 데서, 마음 속 깊이 새겨서 잊지 않음을 말함.
각골통한(刻骨痛恨)
: 뼈에 사무쳐 마음 속 깊이 맺힌 원한. 각골지통(刻骨之痛).
각주구검(刻舟求劍)
: 옛날 초(楚)나라 사람이 배를 타고 가다가 강물에 칼을 떨어뜨리게 되자 배에 칼이 떨어진 곳을 새겨 놓고 나루에 이르러 칼을 찾았다는 고사에서, 어리석고 융통성이 없는 것을 비유함.
각자도생 (各自圖生)
: 사람은 제각기 살아갈 방법을 도모 한다.
간난신고(艱難辛苦)
: 몹시 힘이 들고 쓰라린 고통을 함. 갖은 고초(苦楚)를 다 겪음.
간뇌도지(肝腦塗地)
: 참살(慘殺)을 당하여 간과 뇌가 땅바닥에 으깨어진다는 뜻으로, 국사(國事)에 목숨을 돌보지 않고 힘을 다하는 것을 말함.
간담상조(肝膽相照)
: 마음과 마음을 서로 비춰볼 정도로 서로 마음을 터놓고 사귀는 것을 말함. 간담(肝膽)은 간과 쓸게로 마음을 말함.
갈이천정(渴而穿井)
: 목이 말라야 우물을 판다는 데서, 이미 때가 늦은 것을 일컬음.
감개무량(感慨無量)
: 감개(感慨)가 한(限)이 없음.
감언이설(甘言利說)
: 남의 비위에 맞도록 꾸민 달콤한 말과 이로운 조건을 붙여 꾀는 말
감지덕지(感之德之)
: 감사하게 여기고 덕으로 여긴다는 데서, 대단히 고맙게 여기는 것을 말함.
감탄고토(甘呑苦吐)
: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다는 뜻으로, 사리(事理)의 옳고 그름을 따지지 않고 자기 비위에 맞으면 좋아하고, 맞지 않으면 싫어한다는 말
갑남을녀(甲男乙女)
: 갑(甲)이란 남자와 을(乙)이란 여자의 뜻으로, 평범한 사람을 말함. (선남선녀(善男善女) 장삼이사(張三李四) 초동급부(樵童汲婦) 필부필부(匹夫匹婦) 갑론을박(甲論乙駁) 서로 논박함.)
강구연월(康衢煙月)
: 변화한 거리의 안개낀 흐릿한 달이란 뜻으로, 태편한 시대의 평화로운 풍경을 말함.
강유겸전(剛柔兼全)
: 굳셈과 부드러움을 모두 갖춤. 곧, 성품이 굳세면서도 부드러움
강호연파(江湖煙波)
: 감이나 호수 위에 안개처럼 보얗게 이는 잔 물결. 곧, 대자연(大自然)의 풍경.
개과천선(改過遷善)
: 허물을 고치고 착하게 됨.
개관사정(蓋棺事定)
: 관의 뚜껑을 덮고서야 일이 정해진다는 데서, 시체를 관에 넣고 뚜껑을 덮은 뒤에야 비로소 그 사람이 살아 있었을 때의 가치를 알 수 있다는 것을 말함.
개선광정(改善匡正)
: 좋도록 고치고 바로잡음.
개세지재(蓋世之才)
: 세상을 뒤덮을 만한 재주. 또, 그러한 재주를 가진 사람.
객반위주(客反爲主)
: 손이 도리어 주인이 됨. (주객전도(主客顚倒).)
거두절미(去頭截尾)
: 머리를 자르고 꼬리를 자름. 곧, 일의 원인과 결과를 빼고 요점만을 말함.
거안사위(居安思危)
: 편안히 살 때 위태로움을 생각함.
거안제미(擧案齊眉)
: 양홍(梁鴻)의 아내가 밥상을 들어 눈썹과 나란히 하여 남편 앞에 놓았다는 후한서(後漢書)의 열전(列傳)에 나오는 고사에서 유래한 말로, 아내가 남편을 깍듯이 공경함을 말함.
거자일소(去者日疎)
: 죽은 사람에 대해서는 날이 갈수록 점점 잊어버리게 된다는 데서, 서로 멀리 떨어져 있으면 사이가 멀어짐을 말함.
거자필반(去者必反)↔회자정리(會者定離)
: 떠난 자는 반드시 돌아옴.
건곤일척(乾坤一擲)
: 흥망성패흥망성패(興亡成敗)를 걸고 단판 싸움을 함.
격물치지(格物致知)
: 사물의 이치를 연구하여 자기의 지식을 확고하게 함.
격세지감(隔世之感)
: 세대(世代)를 거른 듯한 느낌. 곧 딴 세대와도 같이 몹시 달라진 느낌.
격화소양(隔靴搔痒)
: 신을 벋고 발바닥을 긁는다는 뜻으로, 일이 성에 차지 않는 것, 또는 일이 철저하지 못한 것을 가리킴.
견강부회(牽强附會)
: 이치(理致)에 닿지 않는 것을 억지로 끌어다 붙임.
견리망의(見利忘義)↔견리사의(見利思義).
: 이익을 보면 의리(義理)를 잊음.
견리사의(見利思義)↔견리망의(見利忘義).
: 이익을 보면 의리(義理)를 생각함.
가 순으로 시작되는 사지성어 고사성어에 대해 알아봤습니다.
'BBP_지식 공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네이버 웹마스터도구 사이트맵 RSS 등록 (4) | 2020.12.06 |
---|---|
네이버 웹마스터도구 사이트 검색 등록 티스토리 노출 (4) | 2020.12.06 |
2021년 소띠 운세 애정운 금전운 애정운 (0) | 2020.12.05 |
사자성어 모음 추천 (0) | 2020.11.24 |
짧은 명언 벤자민 프랭클린 명언 (0) | 2020.11.11 |
댓글